![]() |
RS-232, RS-485 REMOTE IO BOARD (NET-IO-8802-24D ) |
Firmware가 Upgrade 되었습니다(Final Version --- Ver 2.1). 통신 Protocol 일부가 변경되었습니다.(아래에서 Manual 을 Down 받아서 확인하세요.) 가격 : 120,000원(부가세 별도) 수량에 따라 가격 조정해드립니다. 1. 정격 INPUT Power : 24VDC Max Current : 300mA Input : 8Point DC12-24V 전압입력. 2Channel AD(12Bit Single Ended) 4-20mA Or 0-10VDC(주문시 선택). Output : 8Point Relay Output(Max AC250V .1A) Communication : RS-232 Or RS-485 겸용(Short Pin으로 선택). Address : 00 - FF(DIP SW 선택) Speed : 9600,19200,38400,56000bps(DIP SW선택) 2. Dimension 3. Wiring 3.1 POWER
(*)Board 자체 소비전류는 최대 약 0.3A입니다. 출력 Relay가 전부 ON 상태이고 입력이 전부 ON상태일 경우.
3.2 INPUT 3.2.1접점입력
(*)GND 단자는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3.2.2 Sensor 연결
Sensor 출력은 Open Collector Or Push Pull Type을 사용하십시오.
Sensor 내부회로
Open Collector Type
3.2.3 AD INPUT
Analog 입력은 전압 입력과 전류입력(4-20mA)이 있습니다. Analog 입력은 Diff Mode와 Single Ended Mode가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2channel Single Ended Mode로 되어 있습니다.
+, - 양방향 전압입력으로 사용할 경우 Diff Mode로 주문하셔야 합니다. 이때는 AD Channel이 1개로 됩니다. AD1 이 (+), AD2가 (-) 입력이 됩니다.---(*)주문사양 Single Ended Mode에서는 2개의 AD 입력 Channel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때는 (+)전압만 사용합니다.---(*)기본사양
전류입력도 근본적으로는 전압입력입니다. 전류신호를 저항으로 흐르게 하여 전압으로 변환합니다.
위 그림은 AD 입력회로의 내부 입력부입니다. 전압입력일 경우 (DC 10V 입력). R7, R8 = 1 ohm R10, R11 = 10 Kohm R12, R13 = 10 Kohm
전류입력(4-20mA) R7, R8 = 10 Kohm R10, R11 = 1 ohm R12, R13 = 250 ohm 입니다.
3.3 OUTPUT
출력부분은 Relay 접점 출력입니다. 1개의 Board에 8개의 출력이 있습니다. Relay 접점은 한쪽이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장착된 Relay의 접점용량은 5(A)이나, 전체출력 전류의 합이 5(A), 각 출력 당 전류는 1(A)이하로 사용해주십시오.
3.3 RS-232, RS-485통신
이 Board는 RS-232 혹은 RS-485통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RS-232와 RS-485통신은 JUMP PIN으로 선택합니다.
3.3.1 RS-232연결
3.3.2 RS-485연결
연결할 RS-485장치의 결선도를 참고하십시오.
3.3.3 통신속도 설정
통신 속도는 9600,19200,38400,5600 bps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3.3.1 Address 설정
Address는 00부터 FF까지 Dip SW로 설정합니다. 4. 통신 FORMAT 통신 Format은 읽기와 쓰기 각 1개씩만 있습니다. 복잡한 제어코드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입력 Port의 상태를 읽어오는 READ 명령과 출력 Port에 데이터를 보내는 Write 명령 이 2가지만 사용합니다.
4.1 READ
ENQ + Address + Command + EOT (0x05) (01) (R) (0x04) ---- ---- --- ---- 16진수 2자리 대문자 16진수
Board 응답(Board ---> Computer)
ACK + Address + Command + InPortData + AD1 + AD2 + ETX (0x06) (01) (R) (0x03) ----- ---- ---- ----- 16진수 2자리 대문자 16진수
InPortData =“00000000” (8자리)
입력포트 상태(“0”=OFF, "1"=ON), Input8, Input7, Input6, Input5, Input4, Input3, Input2, Input1순으로 전송. AD1 = AD 1번 Channel Data(4자리의 10진수입니다.) AD2 = AD 2번 Channel Data(4자리의 10진수입니다.)
(*) AD Data는 16진수가 아니고 10진수입니다. Data를 읽어와서 다시 10진수로 변환할 필요가 없습니다. 12Bit Data 이므로 “0000”에서 “4095”까지의 값을 가집니다. 4.21 WRITE
쓰기 명령(Computer ---> Board)
ENQ + Address + Command + DATA + EOT (0x05) (01) (W) (0x04) ---- ---- --- ----- 16진수 2자리 대문자 16진수
DATA = OUT8 + OUT7 + OUT6 + OUT5 ----- OUT1 ex) "00000000" --> 출력 전체 OFF "00000001" --> 1번 출력 ON “10000000” --> 8번 출력 ON
Board 응답(Board ---> Computer)
ACK + Address + Command + DATA + ETX (0x06) (01) (W) (0x03) ----- ---- ---- ----- 16진수 2자리 대문자 16진수
|